본문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보조메뉴 바로가기 푸터 바로가기
전자정부로고대한민국 공식 전자정부 누리집입니다.

주요 연구 성과

벼 수발아 발생양상 및 지역별 수발아 감소를 위한 적합 출수기 제시

작성자 : 신숙 조회수 : 387 등록일 : 2021.11.17
▣ 연구 배경
  • ○ 벼 등숙기 기상 환경변화로 수발아 발생 우려 증대
    • - 최근 연이은 등숙기 온도상승과 잦은 강우로 수발아 문제 지속적인 발생
  • ○ 벼 등숙기간 수발아 발생에 대한 온도영향 및 지역별 출수기에 따른 수발아 발생 위험에 대한 정보제공 필요

▣ 주요 연구성과
  • ○ 등숙기간 중 수발아 발생변화 분석
    • - 등숙적산온도 700℃부터 수발아 발생 시작, 900℃부터 수발아 발생 급격히 증가
    • - 등숙적산온도 수발아 발생 시 온도증가에 따른 수발아 발생율 증가
      • * (700℃) 수발아 검정온도당 약 0.1% 상승, (900℃) 약 0.27% 상승, (1100℃) 약 0.3% 증가
  • ※ 시험품종 : 조평, 고품, 흑남벼, 조운, 대보, 신동진, 미광, 오대, 흑진주, 하이아미, 새누리, 남평, 조생흑찰
  • 등숙기 적산온도별 볍씨 물 흡수 후 적산온도변화에 따른 수발아율 변화(%)
  •  
  • ○ 지역별 평균온도 20℃ 이하 시기, 등숙적산온도 900℃ 시 평균온도 20℃이하가 되는 추정 출수기
  • 지역별 평균온도 20℃ 이하 시기, 등숙적산온도 900℃ 시 평균온도 20℃이하가 되는 추정 출수기

▣ 파급효과
  • ○ 벼 수발아 발생 경감을 통한 재배안정성 증대
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만족하십니까?
평가하기
ㆍ담당자 기획조정과 김연정 ㆍ문의전화 063-238-5141 ㆍ갱신주기 년1회